관리 메뉴

HeBhy, since 1983.

이자율의 기간구조 (용어) 본문

Business Administration/Finance

이자율의 기간구조 (용어)

HeBhy 2008. 4. 14. 02:09

기간이자율(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

채권은 만기가 다르면 수익률도 달라 수익률간 격차가 있게 되는데, 이 와 같은 구조를 가리킨다. 이는 만기에 따라 부도위험, 자본손실위험, 시장성, 쿠폰금리, 만기 전 중도상환 조건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현물이자율(spot rate)

무이표채권의 만기수익률을 이르는 말, 이것을 무이표채권의 만기에 해당하는 기간에 적응되는 현재의 이자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적용되고 있는 이자율을 말한다. 즉, 현재시점에서 자금 을 빌리거나 빌려주는 경우 이때 적용되는 이자율은 현물이자율이 된다.반면에 선물이자율은 현재시점에서 요구되는 미래기간에 대한 이자율을 말한다. 즉 일정기간 후의 자금이전을 전제로 현재시점에서 요구 되어지는 미래의 이자율이 선물이자율이 된다. 이러한 선물이자율은 미래시점 에서 실제로 형성되는 현물이자율(furture spot interest rate)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선물이자율이 미래의 이자율에 대한 투자가들의 예상뿐만 아니라 미래의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도이자율(forward interest rate)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경우와 단기채권에 연속적으로 투자하는 경우의 수익률을 서로 같게 해주는 재투자수익률을 선물이자율이라 한다.

이러한 선도이자율은 리스크를 무시할 때 장기투자와 단기투자가 동일한 매력을 갖도록 만들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 이자율이다.


기간이자율(short interest rate)

  주어진 한 기간의 채권의 이자율을 의미한다.


선호영역이론(preferred habitat theory)

이 이론은 수익률의 기간구조를 독립적으로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는 기대이론,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시장분할 이론의 3가지 이론을 절충하여 ①만기선호, ②단기선물이자율에 대한 기대,③위험 프리미엄의 개념을 바탕으로 F.MODIGLIANI와 R.SUTCH가 제시한 이론이다.이 이론에 의하면 채 무자나 채권자들은 특정만기에 대한 선호가 있으나 그들은 선호하지 않는 만기의 채권수익률이 그들이 선호하는 만기의 채권수익률보다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그들이 선호하는 만기를 가진 채권 대신에 수익률이 높은 채권에도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그들이 선호하는 만기를 가진 채권수익률보다 다른 만기를 가진 채권수익률이 충분히 높지 않을 경우에는 그들이 선호하는 만기를 가진 채권에만 투자하기 때문에 장단기채권시장은 부분적으로 분할되어 있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다 양한 만기를 가진 채권수익률에 있어서의 모순은 장단기채권 시장에서의 차익거래에 의해서 완전히 제거되지는 못한다


기대가설(expectations hypothesis)

사람들의 행동은 과거에 발생한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 라 미래에 발생할 사건에 대한 예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상을 경제이론에 도입할 경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현재의 행위를 예상된 사 건과 실현된 사건 사이의 차이에 적응한다고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상 인플레이션율과 실제 인플레이션율이 다를 경우 사람들은 그 오차를 부분적으로 정하여 실제 인플레이션율에 가깝게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수정한다고 본다. 따라서 적응기대가설에 입각한 물가예상방법을 오차수정모형 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가설은 사람들이 언제나 과거의 경험에만 의존하여 예측한다고 가정하는 점에서 비합리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기간 구조에 관한 간단한 이론 중 하나로, 이 가설 하에서는 선도이자율은 미래 기간 이자율에 대한 시장의 합치된 기대값과 갔다.


유동성 선호이론(liquidity premium)

유동성이란 한 자산이 예측된 가격에 쉽게 매각 될 수 있는 있는 능력을 말한다. 장기채권을 더 큰 가격 리스크를 가지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는 덜 유동적이라고 여겨지고, 따라서 프리미엄이 제공되어야 투자자들이 투자한다.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케인스가 사용한 말로 재산을 화폐의 형태로 보유하려는 욕구이며 화폐 에 대한 수요이다. 재산을 증권 등의 재화로 가지는 것보다는 화폐로 갖는 것이 언제든지 필요한 때에는 다른 재화나 서비스와 교환된다. 결국 돈이 다른 물건과 교환하기 쉬운 성질은 물이 흐르는 것과 같이 유동적 인 것이라는 데서 유동성이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재산을 가능한 한 화폐로 갖고 있으려는 동기는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①거래적 동기(transaction motive)= 일상의 거래에 편리한 것. 이것을 다시 ㉠ 소득동기(income motive; 소득자의 소비지출을 위해 필요한 것) ㉡ 영업동기(business motive; 기업가의 영업상 지출에 필요한 것)의 둘로 구분하고 ② 예비적 동기(precautionary motive)= 불시의 필요에 대비하는 것 ③ 투기적 동기(speculative motive)= 장래의 물가변동에 따라 투기적으로 이득의 차를 얻는 것 등이다


시장분할이론(market segmentation theory)

장단기 채권이 본래 별개의 또는 분할된 시장에서 거래되어 각 시장 고유의 균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 질 때 성립하는 이론이다. 각 장, 단기 시장은 다양한 만기시장별로 정해진 균형이자율에 의해 결정된다.

Culbertson(1957) 등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장단기 채권시장의 수익률 은 미래의 단기금리에 대한 기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 나 채권자의 특정만기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채권 시장은 구조적으로 경직되어 투자자들이 채권만기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선호하는 몇 개의 하부시장으로 구성되는데, 채권수익률은 이들 각 하부 시장에서의 수요, 공급의 원리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이 이론은 특히 기관투자가들의 역할을 강조하여 금융기관들이 그들의 제도적, 형태적 요인으로 인하여 특정만기를 선호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부채가 단기이기 때문에 자산운용에 있어서도 단기채권을 선호하게 되고 반면에 보험회사나 연금기금은 장기부채를 보유하고 있어 서 장기채권을 선호하게 된다. 따라서 이 가설은 완전한 위험회피형의 투자자를 가정하고 시장의 불완전성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순수기대 가설과는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장단기 채권시장은 완전히 별개로 분할되어 있다고 주장하여 양 시장을 오가는 차익거래자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다.


유동성 프리미엄(liquidity premium)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을 구입할 때 요구하거나 제공받는 가격할인. 가격할인은 높은 수익률과 직결된다.

(유동성 프리미엄 가설: 힉스에 의해 제시된 채권수익률의 기간구조에 관한 이론으로서, 기대/ 위험회피가설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가설은 기대가설에서의 주장과 같이 장기채권이자율은 각 연도의 단기이자율의 기하평균과 같다는 것을 인정 하면서도, 시장의 투자자들은 단지 기대치에 입각해서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위험회피성향 또는 유동성선호를 지니고 있으므로 장기채권 수익률은 단기이자율의 예상치에 위험회피의 보상으로써 유동성 프리미엄을 가산한 값의 기하평균과 같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매기간의 유동성 프리미엄은 만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체감적으로 증가한다 고 한다. 따라서 유동성 프리미엄 가설은 기대가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수익률곡선(yield curve)

수익률을 나타내는 곡선. 채권에 대하여 만기까지 기간의 함수로서의 만기수익률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횡축에 만기 년수를, 종축에 만기수익률을 축으로 그려지는 곡선을 의미한다. 이 곡선은 경기선행지표로도 이용된다.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s)

단기채권 수익률을 초과하는 장기채 수익률을 의미한다.

Comments